본문 바로가기
건강

통풍발작 응급 대처 치료 방법 - 소염진통제 탁센 복용

by 라이프 에디터 2023. 11. 16.

목차

     

     

     

     

     

    통풍발작 응급 대처 치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양식 식습관과 기름기 많은 음식, 야식 등의 섭취가 늘어나면서 '통풍'을 겪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저 역시 언제 걸렸는지 모를 통품발작으로 인해 가끔씩 고생을 하곤 합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

     

    저의 개인적인 경험 위주로, 통풍 원인 및  '통풍발작 시 응급 대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 방법 - 통풍 원인

    서구식 식습관, 단백질 과섭취, 유전, 운동부족 등의 원인으로 통풍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통풍발작 응급 대처

     

    더욱이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의 경우 20~30대임에도 불구하고, 통풍으로 고생을 하시는 분들이 많아진다고 합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통풍발작 응급 대처

     

     

    통풍의 원인은, 퓨린 성분이 많은 단백질 등을 섭취 후,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요산'이 관절 부위에 쌓이면서 염증 및 통증을 유발하게 됩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통풍발작 응급 대처

     

    요산의 결정 단면이 '삼각형' 이기 때문에, 체내에 쌓여 해당 부위에 자극을 받게 되면, 극심한 통증을 겪게됩니다 

     

     

     

     

    통풍 발생 부위는 주로,

    엄지발가락중지 발가락발등 부위에 대부분 많이 나타나지만, 사실 관절 부위면 어디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가락, 무릎 등 관절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통풍 발작 및 증상

    통풍은 주로 새벽 시간, 잠을 자는 도중에 '발작성'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밤 시간이다 보니,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통증이 심하다보니 응급실에 가야하는 건지, 아침에 병원에 내원해야 하는건지 허둥지둥하게 됩니다 

     

    더욱이 처음 통풍발작을 겪게 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몰라 많이 당황하게 됩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통풍발작 응급 대처

     

     

    ● 통풍 증상 

      - 보통 새벽 시간, 잠을 자다 발 부위의 고통을 느끼며 잠에서 깨어나게 됩니다  

      - 통풍 부위 (주로 발 부위)가 붉게 부어오르면서, 발을 디딜 수 없을 정도의 고통을 수반합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 치료 방법 - 소염진통제(탁센) 복용 

    앞서 이야기했듯이, 새벽 시간에 갑작스럽게 발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로 대처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풍 환자(확진/의심)라면 병원 처방약이나, 그 밖의 상비약을 준비해두어야 합니다

     

    저의 경우 '탁센'이라는 처방전이 필요 없는, 소염진통제를 약국에서 구매해 놓고 갑작스런 통풍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응급조치로 약을 복용합니다(약 광고 아님)

     

     

    물론, 병원 진료 후 처방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탁센은 어디까지나 비상시를 대비해 준비해둡니다 

    (탁센은 종류가 여러가지 있습니다. 통풍의 경우 아래 사진 처럼 초록색 케이스 제품을 복용합니다)

     

     

    통풍발작이 너무 심해 참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응급실로 가서 진료를 받은 후, '스테로이드제' 주사 처방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주사를 맞게 되면, 증상이 빠르게 완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응급실에 갈 수 없는 상황이라면, 소염진통제를 복용하여 급한 불을 끌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보통 새벽 시간에 발작이 일어나면,

    탁센을 복용하여 일단 급한 불을 끄고, 아침에 상황을 보고 병원을 방문할지 말지를 결정합니다

     

    ※ '탁센' 간단 설명

    - 성분 : 나프록센 / 해열, 진통, 소염제 

    - 복용법 : 통풍발작의 경우, 최초 3개 (250mg X 3)를 복용/ 8시간 간격으로 1개 (250mg)씩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복용

     

    ( 탁센 성분 )

     

     - 부작용 : 발진, 가려움 등 과민 증상이 발생하면 투여 금지 / 습진, 발한, 자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제 경우에는,

    발작이 일어났을 때 '탁센'(소염진통제)를 복용 후, 1시간 정도 지나면 우선은 살만해집니다

    '통증이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이 아닙니다만, 그래도 버틸 수 있을 정도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후, 짧게는 2~3일, 길게는 일주일~열흘 가량 복용하면 증상이 사라지곤 합니다

     

     

     

     

     

     

     

     

     

     

    마무리 - 개인적인 경험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제 경우에는 기름진 음식 (튀김, 고기 등)을 먹었을 경우, 발작까지는 아니어도 통풍 발생 부위가 '뻐근해지는' 느낌을 받곤 합니다 

     

    이럴 경우, 병원처방약이나 소염진통제(탁센)를 복용하면 그 다음날 증상이 사라지곤 합니다

    (탁센을 복용할 경우, 원래 권장량 보다 적은 2개 정도만 복용해도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는 약효가 잘 받는 것 같습니다)

     

    통풍발작이 일어난 경우, 

    소염진통제를 설명서 대로 복용해도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에는 무엇을 먹는지와 관련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약을 복용하면서, 기름진 육류믹스커피, 인스턴트 음식 등을 섭취하게 되면, 약효가 반감되는 걸 느꼈습니다

     

    권장사항은 아니지만, 증상이 정말 심할 경우에는, 식사량을 채식 위주로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불어, 수분 섭취량을 늘려 '요산 배출'이 빨리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증상 완화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의 경우 수분 섭취량을 하루 2L까지 늘렸습니다

     

    처방약을 복용하거나, 소염진통제를 먹어도 증상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면, 식단을 확인해 보시고, 가능하면 소식하면서 수분 섭취를 늘리는 방법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통풍발작 응급 대처통풍발작 응급 대처통풍발작 응급 대처

     

     

     

    고혈압 관리 혈압 조절하는 7가지 방법

     

    고혈압 관리 혈압 조절하는 7가지 방법 - 나트륨 줄이고 칼륨 늘리기

    고혈압 관리 및 혈압 조절하는 생활습관 7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혈압은 약 처방 뿐만아니라, 생활 습관을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아래 자세한 내용을 확

    escurl.lifeinplanet.com